
사업 분야
TOC란 무엇인가?
TOC는 변화의 Solution입니다.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살아 남고 더 나아가 선두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항상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은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이 되어야 합니다.
TOC는 무엇을 변화시킬 것인가? /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 것인가? / 그리고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라는 3개의 물음으로 이루어지는 지속적 개선과정을 위한 변화의 Solution입니다.

변화가 곧 개선은 아닙니다. 변화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변화가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변화의 올바른 방향을 결정하고 개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당면한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면서 기업의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TP(Thinking Process)는 바로 이러한 사항들을 충족시키는 TOC의 핵심 도구입니다.
변화의 방향이 확정되면 다음 단계는 개선의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로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기업은 영업과 구매/제조, 그리고 개발이라는 3가지 핵심 기능이 서로 협력하여 조화를 이룰 때 기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TOC의 도구인 TP, DBR, CCPM은 3가지 핵심분야에 TOC를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Solution입니다.
TOC 집중개선 5단계 프로세스

TOC 체계도


CCPM 적용기업
CCPM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는
과업과 자원의 종속성을 모두 고려하여 제약자원을 중심으로 일정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프로젝트 일정에서 가장 긴 경로를 크리티컬 체인(Critical Chain)이라고 하며,
각 과업에 포함된 안전시간을 프로젝트 끝에 하나의 버퍼로 모아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며,
모든 프로젝트가 정시에 완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관리하는 것.

프로젝트 관리도 사람이 중심입니다
•프로젝트에 참여자도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개별 task를 평가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전체가 정시에 완료하는 지에만 관심있습니다.
•사람을 통제 하지 않습니다, 버퍼를 통제합니다.
•핵심자원을 보호해 줍니다.
불확실성, 프로젝트의 속성입니다
•계획은 실행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Contingency 와 리스크 관리로 모든 것이 해결되지 않습니다.
•불확실성이 일어나도 계획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불확실성이 일어나도 납기를 맞출 수 있습니다
Bad Multi-tasking

자원의 스케줄링 없음
•As early as possible
•회의와 보고서 증가
•프로젝트 지연의 원인
•기간당 성과 미흡
자원 스케줄링 수립
•As late as possible
•흐름이 빠름
•기간당 성과 만족

구현 절차
-
Thinking Process를 통한 공감대 형성
-
Project Management 교육
-
CCPM 개념 교육
-
MSP 교육
-
ProChain Scheduling 교육
-
ProChain Pipeline 교육
-
Charter 작성
-
WBS 작성
-
Single Project Scheduling
-
실적 입력
-
보고서 작성
-
운영규정
-
모니터링
-
자원 마스터 정의
-
마스터 스케줄링
-
시뮬레이션
-
운영 규정 작성
-
모니터링
-
Web-based 대시보드 추가 개발
-
쓰루풋 손익계산서
-
평가지표 체계
-
운영 규정 개정
-
프로젝트 기간 단축 활동
적용 효과
-
개별 task 중심이 아닌 프로젝트 전체에 초점
-
버퍼는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음으로 협력문화 형성 가능
-
사람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버퍼를 통제함
-
경영진은 질책이 아니라 행동시점에 지원자 역할
프로젝트
관리의
단순화
-
경영진이 선택과 집중이 가능하도록 Framework을 제공함
-
전체 최적화에 적합한 의사결정 가능
-
자원을 어디에 우선 배정해야 하는 지 기준 제시
-
조치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오류 최소화
-
현실적인 계획 수립으로 계획변경이 획기적으로 감소
프로젝트
성공율
증가
-
불확실성 환경에서도 납기 준수율 증가
-
프로젝트 수행기간 개선
-
품질/일정/예산을 만족한 완료
-
현재의 자원으로 성공하는 프로젝트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
-
구성원 만족도 향상: Multi-tasking 감소,갑작스런 야근.특근 감소
DDMRP
Demand Driven MRP란?
수요 대응형 자재 소요량 계획(Demand Driven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디커플링 재고 버퍼를 설치하고 관리함으로써 적합한(relevant)한 정보 및 자재의 흐름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공식적인 다단게 계획 및 실행 방법론입니다.
Position, Protect and Pull
"Position": 전략적 디커플링 지점 결정
"Protect": 전략적 디커플링 지점이 항상 가용성을 유지하도록 보호
"and Pull": 전략적 디커플링 지점을 기반으로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Demand Driven Pull)
The Five Components of DDMRP

1. 전략적 재고 포지셔닝 : 디커플링 재고 버퍼 위치를 전략적으로 결정
2. 버퍼 프로파일 및 레벨 : 디커플링 재고 버퍼 크기 결정
3. 다이나믹 버퍼 조정 : 알려지고 게획된 미래의 운영 환경 및 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버퍼 크기를 유연하게 조정
4. 수요 대응형 계획수립 : 재고, 공급 오더 및 적격한 수요를 고려하여 공급 오더랑 계획 수립
5. 가시적 협력적 실행 : 실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오픈 오더 실행 우선 순위 관리
DDMRP의 가시적 성과
DDMRP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


Demand Driven Planner(DDP) 프로그램은
CDDP(Certified Demand Driven Planner) 시험을 위한 공식 교육과정
Demand Driven Planner(DDP) 프로그램은
- 대상 : 생산계획 및 구매계획 플래너 및 서플라이 체인 관련 관리자 및 실무자들이
- 목적 : DDMRP를 정확히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잘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 개발 : Demand Driven Institute의 DDMRP 창시 및 선도적 리더에 의해 개발된 교육 과정.
- 자격 : ISCEA(International Supply Chain Education Allience)의 CDDP(Certified Demand Driven Planner) 국제 자격 준비를 위한 교육과정
Demand Driven Planner 프로그램 일정

CPIM과 CDDP는 상호 보완적인 전문자격 프로그램
자주 하는 질문들
Q : CDDP 프로그램은 어떤 사람들을 교육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가?
A : 서플라이 체인상의 중간 관리자, 수요 계획 수립자, 사업 운영 계획 담당자, 생산 계획 스케쥴러 등
운영상의 중요 의사 결정자들이 New Normal 시대의 새로운 DDMRP 방법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조직 내 변화를 이끌어 가는 챔피언의 역할을 수행할 사람들
Q : CDDP 자격증 보유자가 얼마나 되는가?
A : 2012년 4월부터 실시되어 전세계적으로 2016년 6월 현재 1500명 이상 CDDP 자격 보유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남아프리카, 브라질, 호주, 인도 등)
Q : DDMRP 방법론이 어떤 비즈니스 분야에 효과적인가?
A : 조립 산업, 배치 프로세스 산업, 조립 라인, 연속 생산 산업, 유통 분야 등
Q : DDMRP를 적용함으로써 비즈니스 또는 프로세스 상에 예상하는 기대 효과는?
A : 짧아진 리드 타임, 고객 주문 충족율 개선, 자산 회전율(ROI)개선,
재고 회전율 개선(낮아진 재고 수준)으로 기업의 최종 이익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효과
전세계 CDDP 보유 기업






Demand Driven Planner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