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적용 사례
DDMRP
CCPM
TOC
CCPM 적용기업

DDMRP
1. 국내 화장품 기업 사례
AS-IS
TO-BE


-
원 료 : Min-Max 방식
-
포장재 : 장납기 자재는 안전 재고 확보
협력사가 많은 재고를 떠안는 구조
-
원 료 : 재고 버퍼 운영
-
포장재 : 협력사의 제약 공정 앞에 재고 버퍼 설치
-
고객사 내보 재고 버퍼 확보 : 리드타임 단축(20일→6일)
성과

1. 원료
재고 20% 절감
업무량 감소 30%
2. 포장재
Service 수준 증가(구매대응율 60%→90%)
수입 포장재 Service 수준 99% 달성
협력사와 장기 구매 계획 공유 가능
3. 생산 리드타임 단축(20일→6일)
2. 국내 자동차 부품 기업 사례
LTP(Long Term Planning)시스템의 소요량 계산을 근거로 Excel에서 운영해오던 PR 프로세스를
MRP 소요량을 기준으로 변경하고 DDMRP 이론을 활용한 솔루션(R+)을 도입하여
PR 수량을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 개선


기존 프로세스의 문제점
• 다운로드→엑셀 가공 및 정리
• 판매계획 기준의 과부족 발주 수량과 실 출고 오차관리
• 기 발주 수량 및 납기에 대한 불확실성
• 안전재고 기준의 불확실성
• 조달 담당자의 경험과 통찰력에 의존한 발주
• 수작업 오류 가능성
• 게획과 조정의 우선 순위 확보의 어려움


새로운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개선사항
•시스템에 의한 가시성 확보(다운로드→엑셀 가공 불필요)
•상시 가용성 유지 관리
• 불확실성에 의한 변동성을 버퍼로 흡수
• 안전재고 기준 확보
• 기준에 의한 발주
• 수 작업 오류 가능성 배제
• 계획과 조정의 우선 순위 확보
성과

bottom of page